병행 프로세스는 컴퓨터 과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존재하며 실행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죠. 여기서는 병행 프로세스의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병행 프로세스 문제 해결책
상호 배제 기법
동기화 기법
교착상태
교착상태 발생 조건 (★)
발생 조건 | 설명 |
상호배제 (Mutual Exclusion) | 한 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만이 공유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점유와 대기 (Hold & Wait) |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자원을 추가로 요구하며 대기 |
비선점 (Nonpreemption)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 |
교착상태 해결 방법
해결 방법 | 설명 |
예방 기법 (Prevention) | 교착 상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
회피 기법 (Avoidance) | 교착상태가 발생하려고 할 때 교착상태 가능을 피해가는 방법 주로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이 사용 |
발견 기법 (Detection) | 시스템에 교착 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여 교착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하는 것 |
회복 기법 (Recovery) | 교착상태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선점하여 프로세스나 자원을 회복하는 것 |
병행 프로세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꼭 필요한 개념입니다. 이를 잘 이해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적용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024년에 정보처리기사 따기 위해 노력하는 모두에게 행운을 빕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0) | 2024.07.10 |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가상기억장치 (0) | 2024.06.12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메모리 관리 (0) | 2024.06.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데이터 전환 (0) | 2024.05.25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병행 제어와 회복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