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란한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소란한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104)
    • 정보처리기사 공부지식 (49)
    • JAVA (24)
    • Spring (2)
    • 템플릿 엔진 (1)
    • Web (6)
    • javascript (0)
    • AWS (0)
    • 데이터베이스 (10)
    • 네트워크 (2)
    • AI (1)
    • [일상] 음악 감상 (5)
    • [일상] 책 리뷰 (3)

검색 레이어

소란한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AI] 코딩 초보를 위한 바이브 코딩 AI 활용법

    2025.04.29 by 소란한소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병행 프로세스

    2024.07.18 by 소란한소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2024.07.10 by 소란한소란

  • [책 리뷰] 우아한형제들 - 이게 무슨 일이야!

    2024.06.17 by 소란한소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가상기억장치

    2024.06.12 by 소란한소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메모리 관리

    2024.06.04 by 소란한소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운영체제 기초

    2024.05.28 by 소란한소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데이터 전환

    2024.05.25 by 소란한소란

[AI] 코딩 초보를 위한 바이브 코딩 AI 활용법

코딩, 정말 몰라도 될까? AI 시대의 개발 접근법 AI 툴을 활용하면 코딩을 몰라도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기본적인 코딩 개념이 없으면 프로젝트를 이어가기 어렵습니다. 특히 간단한 에러조차 해결하기 어려워 포기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적인 코딩 개념만 익혀도 AI의 도움을 받아 충분히 나만의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어요.AI에게 제대로 질문하는 법: 개발 효율 높이기 AI 툴을 사용할 때는 질문을 구체적으로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막연한 질문은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고, 원하는 기능을 만들려면 어느 정도 코딩 개념을 알고 있어야 AI에게 더 나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첫걸음 떼기: 쉬운 프로젝트부터 시작해야 하는 이유 처음부터 인..

AI 2025. 4. 29. 21:07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병행 프로세스

병행 프로세스병행 프로세스는 컴퓨터 과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존재하며 실행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죠. 여기서는 병행 프로세스의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병행 프로세스 문제 해결책 임계구역(Critical Section)공유 자원에 대해서 한 순간에는 반드시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하도록 지정한 영역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하나의 프로세스가 공유 메모리 혹은 공유 파일을 사용하고 있을 때 다른 프로세스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배제시키는 제어 기법  상호 배제 기법데커의 알고리즘피터슨의 알고리즘다익스트라 알고리즘램포트의 베어커리 알고리즘 동기화 기법세마포어(Semaphore)각 프로세스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

정보처리기사 공부지식 2024. 7. 18. 20:10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운영체제의 프로세스와 스레드 개요운영체제(OS)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운영체제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코드 그 이상의 개념으로, 실행에 필요한 다양한 리소스(메모리, 파일 핸들 등)를 포함합니다. 운영체제는 여러 프로세스를 동시에 관리하고 실행하는데, 이는 다중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스레드(Thread)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독립적인 흐름의 단위입니다.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스레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프로세스의 자원을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는 각 탭을 스레드로..

정보처리기사 공부지식 2024. 7. 10. 21:00

[책 리뷰] 우아한형제들 - 이게 무슨 일이야!

우아한 형제들 - 이게 무슨 일이야! 이 책을 보게 된 이유는 단순한 우연이었습니다. 학부시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구글링을 통해 오류를 찾아보는데 우연히 우테코 수료생분이 쓴 ' 우아한형제들 - 이게 무슨 일이야! ' 책 리뷰 게시글을 보게 되어 이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토스가 ‘금융’이듯, 배민은 ‘일’을 키워드로 가져가고 싶어요 ❞ 이 한마디에, 배달과 맛집, 음식을 연상시키던 배민이 갑자기 '일'과 연결되어 다가왔습니다. 대체 얼마나 선진적인 일 문화를 가지고 있길래 이런 자신감이 나올 수 있을까요? 궁금증이 커졌고, 그래서 이 책을 집어들게 되었죠. 김봉진 회장은 토스를 '금융', 배민을 '일'로 정의하며, 배달의 민족이 일의 가치를 얼마나 중시하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일에 대한 고민과 성장..

[일상] 책 리뷰 2024. 6. 17. 20:59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가상기억장치

가상 메모리 이해: 개념 및 관리가상 메모리는 시스템이 저장소(예: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주 메모리(RAM)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대 컴퓨팅의 기본 개념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물리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RAM을 시뮬레이션하여 더 큰 작업 부하와 멀티태스킹을 처리하는 시스템 기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가상기억장치개념보호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 블록 분할 방법 (★)페이징(Paging) 기법가상기억장치를 모두 같은 크기의 블록으로 편성하여 운용하는 기법페이지 크기별 비교페이지 크기기억장소 효율단편화입출력 시간맵 테이블클수록감소증가감소감소작을수록증가감소증가증가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기법가상 메모리를 서로 크기가 다른 논리적 단위인 세그..

정보처리기사 공부지식 2024. 6. 12. 21:01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메모리 관리

운영 체제의 메모리 관리 이해메모리 관리는 컴퓨터의 기본 메모리 관리를 담당하는 운영 체제의 중요한 기능입니다. 여기에는 효율적인 메모리 할당, 할당 해제, 재할당을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 최적의 성능과 활용도를 보장합니다. 기억장치 관리 전략개념보조기억장치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키는 시기, 위치 등을 지정하여 한정된 주기억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반입(Fetch)전략 (★)보조기억장치에 보관 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요구 반입 (Demand)예상 반입 (Ariticipatory)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참조를 요구할 때 적재하는 방법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

정보처리기사 공부지식 2024. 6. 4. 21:15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운영체제 기초

운영체제 기초: 기억장치와 시스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심에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돕는 중요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운영체제의 기본 개념과 주요 구성 요소인 기억장치와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억장치 종류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레지스터중앙처리장치(CPU) 내부에 있는 기억장치로, 접근 시간이 CPU의 처리 속도와 비슷합니다.캐시 메모리CPU가 주기억장치에 접근할 때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합니다.주기억장치CPU가 직접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장치로,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보다 기억 용량이 큽니다.종..

카테고리 없음 2024. 5. 28. 20:49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데이터 전환

ETL (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ing) 이해하기데이터 관리는 현대 비즈니스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중에서도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ing)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핵심 프로세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TL의 개념과 데이터 전환 절차, 주요 기능 및 작업 단계를 살펴보겠습니다.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ing)개념기존의 원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추출(Extraction)하여 목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형식과 내용으로 변환(Transformation)한 후, 목적 시스템에 적재(Loading)하는 일련의 과정데이터 전환 절차데이터 전환 계획 및 요건 정의데이..

정보처리기사 공부지식 2024. 5. 25. 20:05

추가 정보

페이징

이전
1 2 3 4 ··· 13
다음
TISTORY
소란한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